모바일 HW 이야기/모바일 이야기

휴대폰 한글자판 표준, '천지인'과 '나랏글' 사이

MIRiyA☆ 2011. 3. 8. 08:00

이번에 뉴스 봤는가?

국내에서 생산되는 휴대폰의 문자 입력 방식이 천지인으로 통일된다고 한다. 앞으로 나오는 일반 피처폰들은 표준으로 천지인, 스마트폰들은 삼성의 '천지인', LG의 '나랏글(ez-한글)', 팬텍 계열의 'SKY II'도 함께 표준으로 인정하여 함께 탑재되게 된다. [관련기사]


내용을 보니, 삼성 전자, LG 전자, 팬텍 등 제조사와 SKT, KT, LG U+ 등 이통사가 합의하고 정부에 건의문을 전달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게 표준으로 재정되면 6개월 후에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건 국내에만 해당되는거고, 애플, 모토로라, HTC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방통위에 의하면 이거 국내에 재정한 다음, 국제 표준화를 진행할거라니.. 조만간 아이폰 등에서 쿼티와 천지인을 함께 볼 날이 있을것 같다.


이를 두고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댓글로 의견이 분분한데, 한쪽은 "천지인이 배우기 편하다"고, 한쪽은 "천지인은 느리고 방향키를 써야하니 나랏글이 좋다" 정도로 나뉜다. 둘 다 일리가 있는 말이라 이 글에서 한번 썰을 풀어보려고 한다. 어떤 분은 삼성 전자가 천지인이 되게 해달라고 로비를 엄청 했을거라고 하는데, 정작 삼성쪽에서는 천지인은 특허가 열려있고, 표준 지정에 대해서도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하니 로비까지 할만한 정도는 아니었나보다.


표준화를 하는 이유는, 각각 단말기 제조사마다 입력 방식이 달라 여기 익숙해진 사람들이 다른 단말기로 옮겨가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국제적으로 한글 입력 방식에 표준이 없다고 핀잔도 듣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아이폰에서 일본은 텐키 입력 방식이 있는 반면, 한글은 그냥 쿼티만 존재했던 것이다. 이게 또 웃기는게.. 예전에 중국 애들이 조선어 입력 표준안 작성을 한다고 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거다. 



이 내용대로라면 중국이 만든 한글 입력 국제 표준을 우리나라가 수용해야 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래서 정보통신부 시절부터 5년 넘게 질질 끌고 있던 표준안을 이번에 급하게 재정하게 된 것이다.



천지인과 나랏글을 비교해보자.


위 사진에서 좌측이 천지인, 우측이 나랏글(ez한글)이다. 


천지인은 한글 창제 당시의 모음 구성 원리를 그대로 응용하여 하늘, 땅, 사람, 즉 ●, ㅡ, ㅣ 세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등의 모음을 만들어낼 수 있다. 척 봐도 대충 이해가 가게 만들어서,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배우기 쉽다. 반면 "국가" 등의 글을 쓸 때, '국'까지 쓰고 스페이스바나 방향키를 한번 눌러서 글씨를 마무리해줘야하는 단점이 있다. 방향키를 사용 안 할 경우, '궄'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나랏글의 경우, 자음 부분에 가획(획추가)와 병서(쌍자음) 버튼이 있는게 이색적인데, 이것 역시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자음 구성 원리와 같다. 근데 이게 장점도 되고 단점도 된다. 일단 같은 글을 쓸때도 천지인보다 타이핑할 횟수가 적어서 속도가 아주 빠르다. 그리고 ㅇㅇ, ㅋㅋ 등의 단자음 연타로 통신체 글을 쓸때 아주 편하다. 하지만 글씨를 쓰고 획추가나 쌍자음 버튼을 눌러야한다는 점이 배우기 어려운 점이라 할 수 있겠다.



하는 김에 훈민정음 내용을 그대로 옮겨 써본다.

今正音之作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初非智營而力索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하고, 애써서 찾은 것이 아니라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다만 그 (원래에 있는)성음(의 원리)을 바탕으로 이치를 다한 것 뿐이다.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음양의)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니니 어찌 천지 자연, (변화를 주관하는) 귀신과 그 사용을 같이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이십 여덟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 

초성은 모두 열 일곱자다. 

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 

아음(어금니 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혓 소리) ㄴ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脣音ㅁ 象口形. 

순음(입술소리) ㅁ은 입모양을 본뜨고, 

齒音ㅅ 象齒形. 

치음(잇 소리) ㅅ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喉音o 象喉形. 

후음(목구멍 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ㅋ比ㄱ 聲出稍  故加劃.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나는게 세게 나는 까닭으로 획을 더하였다. 

ㄴ而ㄷ ㄷ而ㅌ ㅁ而ㅂ ㅂ而ㅍ ㅅ而ㅈ ㅈ而ㅊ o而ㆆ ㆆ而ㅎ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 

其因聲加劃之義皆同 

그 소리(의 세기)를 바탕으로 획은 더한 뜻은 모두 같다. 

而唯ㆁ爲異. 

그러나, 오직 ㆁ이 된 것은 다르다. 

半舌音ㄹ 半齒音ㅿ 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 

無加劃之義焉. 

반설음 ㄹ과 반치음 ㅿ 역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떠서 그 모양을 달리했지만, 획을 더한 의미는 없다.


천지인은 모음을, 나랏글은 자음을 훈민정음을 참조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이 흥미롭다.

천지인은 ㄲ 쓸 때 1번 버튼만 3번 연타하면 ㄱ > ㅋ > ㄲ로 변하기 때문에 배우기 쉽지만, 나랏글은 ㄱ을 입력하고 획추가나 쌍자음 등 기능키를 따로 눌러야 하기 때문에 다소 어렵다. 거기 더해 모음쪽은 정말 어렵다. 처음 써보는 사람에게 'ㅖ' 등의 모음을 조합해보라고 하면, 천지인은 어렵지 않게 해내지만 나랏글은 ㅏ 버튼을 두번 눌러 ㅓ 버튼으로 만들고, 획추가 버튼을 눌러서 ㅕ로 만든 다음, ㅣ 버튼을 눌러서 ㅖ로 만들어내야한다. 

모음은 자음보다 복잡하고, 그런 면에서 나랏글은 천지인보다 초기 학습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휴대폰을 바꿀때마다 메이커별로 다른 입력 방식에 적응하느라 힘들어하는 것은 사실이고, 이를 위해 표준이 재정된것이다. 문자 보내기.. 젊은 중고생들이면 모르겠지만, 나이 많은 사람들은 문자 보내는 방식이 아주 큰 장벽으로 작용한다.


클리앙의 노래꾼 님이 주옥같은 댓글을 남겨주셨는데, 발췌해서 적어본다.


"표준"이라면, 빠르지만 어려운 것 보다는 쉽지만 느린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외국의 경우를 볼까?


위 사진에서 좌측이 ITU E.161이고, 우측이 Nokia E55의 Half-QWERTY다. 


외국의 키패드를 보면, ITU가 E.161 표준에 알파벳 키패드 방식을 정해놓았다. 그리고 이 방식이 굉장히 무식하다. ABC, DEF, GHI, JKL.. 이런식으로 3글자씩 끊어서 할당해버렸다. 그리고 노키아의 특정 기종을 빼놓고는 다른 방식의 키패드를 사용한 사례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QWERTY 키보드가 나온 이유가, 타자기 칠 때 키 꼬이지 말라고 사용 빈도가 많은 문자들을 서로 멀리 떨어뜨려놓기 위해서가 아니었던가. 나온 유래만 봐도 단순하게 ABC, DEF 모아놓은 E.161이 불편하고 느릴것은 자명해보인다. 하지만 이게 표준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빠르지만 어려운게 아니라.. 느리지만 알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천지인이 쉽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삼성, LG, 팬텍의 피처폰의 키패드를 천지인으로 통일하는걸 환영한다. 하지만 그 폰을 내가 오래 잡고 쓴다면 나랏글을 더 선호할 것 같다. 굉장히 이중적이고, 웃기는 소리 맞다. 하지만 내 생각은 그렇다. 나는 느리고 손가락 꼬여서 안쓰겠지만, 키패드 입력 방식을 배우기 어려워하는 어르신 세대를 생각해봤을 때 천지인 키패드가 더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뭐 지금은 터치 스크린이 달린 휴대폰을 쓰기 때문에 쿼티 방식을 선호한다.


여튼, 앞으론 내가 영원히 쓸 일 없어보이는 피처폰에는 천지인이 의무 탑재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에는 천지인, 나랏글, SKY II, QWERTY가 모두 들어가게 된다. 표준화는 각각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문제였고, 나랏글이 천지인보다 빠르고 효율적인건 사실이다. 하지만 올해 말 스마트폰 판매량이 피처폰 판매량보다 많아지게 될 것으로 전망되는 지금,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고, 피처폰은 일부 어르신들이나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피처폰이 실버폰화 되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제조사와 이통사는 사용자가 배우기 편한걸 더 우선으로 생각하고 합의했나보다.


참고 자료 : 디지털 한글 박물관 - 휴대전화 한글 입력 [1] / [2]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