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도 포탈이 주도할 인터넷 생태계 간만에 인터넷에 이런 기사가 올라와있더라. 포털-중소콘텐츠 "인터넷생태계 복원 돕는다"라고, 포탈이랑 각종 단체가 모여 생태계 복원 사업에 대한 논의를 한단다. 이 글을 보니까 예전에 봤던 한국 인터넷에서 잘못 끼워진 첫 단추, 그 이름은 네이버 (NAVER)라는 글이 생각났다. 글은 참 좋지만 내가 .. 웹서비스 이야기/네이버 2010.04.23
다음 블로그용 글 유통기능 공개 저는 예전 "IE6 보이콧 운동"이라는 글을 시작으로, 포스팅 하단에 구독 권장 호객 문구와 더불어 몇가지 저작권 관련 코멘트를 묶어서 삽입해오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생긴 놈이었지요.. (뭐 쓰다보니 점점 길어지고 커졌지만..)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RSS로 구독하세요. http://blog.daum.net/xml/rss/miriya .. 웹서비스 이야기/다음 기타 2010.04.21
2010 네이버 신사옥 탐방기 원래 이 글은 빨리 올리려고 했는데, 갑자기 급한 일이 와르르 몰려들다보니 뒷북 치는 모양새가 될 것 같아서 그냥 아싸리 한참 지난 월요일에 올려버립니다. 네이버쪽에서 사옥 사진은 될 수 있으면 월요일에 올려달라고 요청했거든요. 처음에는 이 민주사회에 양반들이 히틀러마냥 무슨 보도의 자.. 웹서비스 이야기/네이버 2010.04.12
주소 축약은 트위터에 기생하는 저질 서비스. 최근에 다음의 새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인 '요즘'을 이용해보고 있는데, 기존 트위터의 안좋은 부분을 그대로 따왔습니다. 트위터의 경우 140자 글자 제한이 있어서 뭔가 링크를 걸 때 링크 주소가 길 경우 글씨 쓸 공간이 부족해지거나 아예 글을 쓸 수가 없었습니다. 가령 http://www.slrclub.com/bbs/vx2.php?id.. 웹서비스 이야기/SNS 서비스 2010.04.02
미투데이 삭제기능 추가, 낙장불입에 대해.. 미투데이에 4월 1일 만우절을 맞아 삭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를 두고 아쉬워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제 입장은 이래요. 글은 개인의 저작물이므로 처분권도 법적으로 개인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의 문화가 어떻든 간에 기능으로 제약할수는 없는 법적인 부분이라 생각해요. 낙장불입 시.. 웹서비스 이야기/네이버 2010.04.02
어도비 CS5, 4월 13일에 공개! 뒷북인진 모르겠지만, 너무나도 고대하던 소식이라 단신 쎄워봅니다. 4월 15일에 Adobe CS5가 출시되네요. Photoshop CS5, Flash CS5가 포함되어있겠죠. 포토샵 CS5야 뭐 우주적인 새로운 기능들로 무장해서 나온다는건 익히 알려져있고, 플래시 CS5에서는 아이폰 어플로 익스포트 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간다니 .. 웹서비스 이야기/기타 웹 관련 2010.03.31
다음 블로그, 예약 포스팅 기능 사용해보니.. 얼마전에 다음 블로그에 예약 포스팅 기능이 들어갔습니다. 겉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는 변화지만 제 포스팅 빈도에 변화가 오는군요. 일단은 하루에 한개씩은 꼭 올리게 되었습니다. 사람이 참 웃기는 것이, 열정이 언제나 확 불타오르는게 아닙니다. 언제는 글 5개도 쓰다가 언제는 하나도 안쓰게 되.. 웹서비스 이야기/다음 기타 2010.03.24
공공의 적 IE6, 국내 점유율 50% 이하로 하락 수많은 개발자들의 고혈을 짜내는 악성 잔존 프로그램인 IE6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한달에 1%씩 감소하고있다. 아래는 InternetTrend™의 자료를 토대로 정리해본 국내 운영체제 점유율 표다. 서버 운영체제들은 점유율이 합쳐서 1%도 안되는 터라 그냥 지웠다. 옆의 맥은 재미있어할 사람이 많을것 .. 웹서비스 이야기/MS 2010.03.15
내 블로그 내 맘대로 못파나 아.. 피드 보고 있다가 "헉, 미리야가 블로그를 팔겠다는거야?"하며 식겁해서 들어온 분이 있을것 같은데, 당연히 제가 판다는건 아니고(사겠다는 사람도 없을 뿐더러), 이번엔 블로그의 상업적인 가능성과 판매에 대해 한번 논해보고자 이 글을 씁니다. 블로그는 굉장히 전파성이 강한 매체입니다. 블.. 웹서비스 이야기/다음 기타 2010.03.12
무심한 구글, 그리고 번역과 디자인 저 좀 열받아 있습니다. 요번에 아이폰으로 어플좀 사용하다가 황당한 경험을 했습니다. 아래 사진 보세요. 아이폰 외국 어플들이 LBS 서비스 사용할 때 주로 구글 맵을 불러와서 쓰는데, 구글맵이 우리나라에 별로 신경 안쓰고 있는것 같습니다. 아니 지금 장난하는것도 아니고, 9호선이 개통된게 작년 .. 웹서비스 이야기/구글 2010.03.11